Based on “Digital Leadership: A Bibliometric Analysis” (2023) by Tigre, F. B., Curado, C., & Henriques, P. L. in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Vol. 30(1), 40–70.
무엇을, 왜 연구했나? 최근 많은 기업이 유연하고 민첩한 업무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는 기업은 많지 않다. 디지털 환경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한 업무 환경을 구축하는 것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이 일하고 생각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데 이 같은 부분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구성원의 업무 방식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리더들의 행동과 리더십의 실천 방식(Leadership Practice) 역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하도록 변화해야 한다.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조직 내 리더의 리더십에 새로운 도전 과제가 생긴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더십 분야의 구조 및 그 발전 과정을 고찰, 분석하고 이를 통한 교훈과 디지털 기술로 인한 파괴적 혁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디지털 리더십 패러다임에 대해 광범위하고 종합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스코퍼스(Scopus)와 웹오브사이언스(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서 발행된 모든 논문에서 디지털 리더십에 관한 내용, 특성 및 관계를 조사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한지영jeo0915@naver.com
삼경에프에스 전무
필자는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서 기술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하리보를 비롯한 세계적인 글로벌 식품 브랜드를 수입 유통하고 있는 삼경에프에스에서 CMO로 일하고 있으며 경희대 경영대학원에서 ‘Business Case Study’와 ‘Marketing for Going Global’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연구 분야는 디지털 기술과 마케팅 성과 창출, 조직 변화 관리와 온라인 카지노 합법 사이트, 조직 커뮤니케이션, 조직 자원 이론, 경영 전략 등이다.